들꽃

나도수정초

sosan(소산) 2010. 5. 24. 09:21

 

 

 

 

 

 

 

 

 

 

2010년 5월22일날에

전북에서 일기예보로는 오후부터 비가 온다더니 이른아침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그래도 예정데로 일정을 진행한다...

엊그제까지만해도 별로 나도수정초가 올라오지 않았다는데 며칠사이에 엄청 많은 나도수정초가 올라와 있었다..

전북에서는 나도수정초를 처음 본다... 강원도에서 본 아이들보다 몸매가 가늘고 맵시가 있다...

어둡고 비가 오는 와중에 조명을 비추어 가면서 나도수정초를 담다...

 Monotropastrum humile (D.Don) Hara

잎은 호생하고 빽빽이 나며 퇴화하여 비늘조각모양이고 좁은 장 타원형 또는 좁은 난상 장 타원형으로 길이 1~2cm, 나비 5~8mm이며 끝은 둔하거나 둥글고 약간 육질이다.과실은 액과로 타원상 구형이다.꽃은 7~8월에 은백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1개가 달리며 통상 종형으로 밑을 향하나 과시에는 곧추서고 길이 약 2cm이다. 꽃받침조각은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5개이며 자방은 1실이고 측막태좌이다.

나도수정초는 부생식물이며 엽록소가 없어 광합성을 하지 못하므로 다른 생물이 합성한 영양분을 이용하여 산다...

 

광합성을 하지 않는 식물로는 기생식물 (parasitic plant) 과 부생식물 (saprophyte) 이란 것이
있다.이들은 엽록체를 가지지 못했기에 특이한 방법을 통해유기물을 얻어 내는데 기생식물은 숙주식물의 관다발에서 양분을 빨아올려 영양을 섭취합니다. 기생식물 가운데 새삼, 실새삼 같은 경우는 광합성을 전혀 못하지만 겨우살이와 같은 경우에는 일부 광합성을 통해 양분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부생식물들은 각종 동식물의 고사체,배설물들을 분해하거나 또는 분해되어 생성된 유기물을 흡수하는 식물들로 고사체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무기물화하기 때문에 자연계에서물질순환상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활을 합니다. 부생식물의 종류로는 나도수정초.수정난풀이나 구상난풀이 있다.

 보통식물과는 다른 나도수정초를 담고는 부생식물과 기생식물에 대해 공부를 해본다...

'들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칡  (0) 2010.05.24
벌노랑이  (0) 2010.05.24
대성쓴풀  (0) 2010.05.21
금난초  (0) 2010.05.21
큰괭이밥  (0) 2010.05.21